반응형

새아버지 성으로 변경할 수 있을까? 친양자 입양과 성 변경 방법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성(姓)과 이름을 바꾸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부모의 재혼으로 인해 새아버지 성을 따르고 싶어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렇다면 새아버지의 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성과 본을 변경하는 방법, 친양자 입양 절차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이름(개명)만 변경하는 경우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부르기 어려운 경우, 법원에 개명 신청을 하면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개명 신청은 비교적 승인율이 높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개명 신청 절차

  1. 가정법원에 개명 신청서 제출
    •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준비
    • 신청 사유서 작성 (이름을 변경하려는 이유 설명)
  2. 법원의 심사 및 결정
    • 개명 사유가 타당하면 허가
  3. 가족관계등록부 변경
    • 개명 허가가 나면 주민등록과 신분증을 변경 가능

하지만 개명만으로는 성을 바꿀 수 없습니다. 성까지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새아버지 성으로 바꾸는 방법 (성 본 변경)

성 변경은 이름 변경보다 까다롭지만, 법적인 절차를 통해 가능합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친양자 입양을 통해 새아버지 성을 따르는 것입니다.

(1) 친양자 입양을 통한 성 변경

친양자 입양이란?
새아버지가 친부 역할을 법적으로 인정받는 입양으로, 친부와의 법적 관계가 단절되고 새아버지의 자녀로 등록됩니다.

친양자 입양을 하면?

  • 새아버지의 성과 본을 따를 수 있음
  • 가족관계등록부에서 친부의 기록이 삭제됨
  • 법적으로 새아버지의 친자녀로 인정받음

친양자 입양 요건

  1. 새아버지가 어머니와 법적으로 혼인 상태여야 함
  2. 본인의 동의 필요 (만 13세 이상일 경우)
  3. 법원의 허가 필요

친양자 입양 절차

  1. 가정법원에 친양자 입양 신청
    •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입양동의서 제출
  2. 법원의 심사
    • 아이의 복리를 고려하여 심사 후 결정
  3. 입양 허가 후 가족관계등록부 변경
    • 새아버지의 자녀로 등록되며, 성도 변경됨

(2) 일반 성 본 변경 (입양 없이 성만 바꾸기)

입양을 하지 않고 성을 바꾸려면, 가정법원에 "성 본 변경 신청"을 해야 합니다.

법원이 성 변경을 허가하는 경우

  • 생부와 관계가 완전히 단절되었을 경우
  • 새아버지가 사실상 친부 역할을 해왔을 경우
  • 아이의 복리를 위해 성 변경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성 본 변경 절차

  1. 가정법원에 성 본 변경 신청서 제출
  2. 법원의 심사 및 결정
  3. 변경 허가 후 가족관계등록부 정정

3. 관련 정보 및 참고 사이트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4. 결론

이름만 바꾸는 것 (개명) → 가능 (법원 신청 필요)
새아버지 성으로 바꾸기 → 입양하면 가능 (친양자 입양 절차 필요)
입양 없이 성 변경 → 법원 허가 필요 (사유 인정될 경우 가능)

가족과 충분히 상의한 후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과 본 변경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